본문 바로가기

Java11

연산자 연산자의 종류에는 단항 연산자,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삼항 연산자, 대입 연산자가 있다. 연산자는 단항, 산술, 비교, 논리, 삼항, 대입 연산자의 순서로 진행한다. 이때, 단항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연산의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단항 연산자 증감 연산자(++, --) 증가 연산자는 ++으로 피연산자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는 --으로 피연산자의 값을 1만큼 감소시킨다. 증감 연산자는 전위, 후위로 나눌 수 있다. 전위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시킨 후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고, 후위란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위와 후위를 구분하는 것은 간단하다. ++피연산자, --피연산자 전위;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시킨 후 연산을 수행하는 것 .. 2022. 3. 26.
변수, 상수, 자료형(Data Type)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의 공간이다. 변수란 변하는 값이므로, 값(데이터)이/가 변하면 메모리의 공간도 변경될 수 있다. 상수란? 변하지 않는 값이다.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한다. final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상수(변하지 않는 수)가 되어 변경할 수 없다. 예시) final int n = 0; //n = 5; //컴파일 에러 발생 변수 상수 변수는 데이터를 담는 공간이므로, 담기는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변수 타입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int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int 타입의 변수가 필요하다. 변수를 선언해야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 타입에 맞는 데이터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고, 이 저장 공간은 변수명을 통해 사용.. 2022. 3. 25.
자바란? 자바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내에 관계있는 데이터와 연산을 묶어 해당 객체의 재사용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기법 *객체지향 언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한 언어 객체 지향의 특징: 상속, 추상화, 캡슐화(은닉), 다형성 자바는 바이트 코드로 전환돼 JVM(Java Virtual Machine; 자바 가상 머신)상에서 실행됨 바이트 코드는 클래스 파일과 대응됨 *자동 메모리 할당: 객체 생성 시 자동으로 메모리가 할당 + JVM이 알아서 메모리를 해제 *클래스 로딩: JVM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클래스를 인지하는 동작 *동적 로딩: 프로그램 실행 중에 클래스 로딩이 일어나는 것 정적 로딩 자바의 특징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언어 객체지향 .. 2022.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