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11 배열 배열은 인덱스(번호)와 인덱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이뤄진 자료 구조이다. 배열에는 같은 종류에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각 데이터의 위치는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자료형[] 배열 이름 = new 자료형[배열의 길이]; 자료형 배열 이름[] = new 자료형[배열의 길이]; int[] scores; 위의 코드는 5개의 정수형 데이터들을 저장할 배열 scores를 선언한 것이다. 배열 이름인 scores는 정수형 데이터가 아닌 정수형 데이터의 주소 값을 가리킨다. 즉, scores는 정수형 배열 객체가 아니고 정수형 배열 객체를 가리킬 수 있는 참조 변수이다. int[] scores를 선언은 정수를 담을 배열이 아닌 정수형 배열의 참조 변수를 생성한 것임을 명심하자! scores[0]은 정수형 배.. 2022. 3. 29. [반복문]for문, while문, do~while문 반복문을 사용하면 같은 문장을 여러 번 적지 않아도 동일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for문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반복될 문장; 반복될 문장; } *반복될 문장이 하나인 경우는 괄호를 생략할 수 있음 total += i는 total = total + i와 동일하다. for문에서 선언된 int형의 i라는 변수는 for문이 끝나는 블록(})을 만나면 소멸된다. 즉, for문 안에서만 의미가 있다. 따라서 for문이 끝난 후 i라는 변수를 사용하고자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for(int i, int j; 조건식; 증감식) { 반복될 문장; 반복될 문장; } 초기화 부분에는 초기화 문장을 콤마(,)를 사용해 여러 개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원하는 위치에 초기화, 증감식을 위치시킬 .. 2022. 3. 28. switch문 switch문은 if문의 동작 방식과 비슷하다. switch(조건식) { case 값1: 문장; 문장; break; case 값2: 문장; 문장; break; case 값3: 문장; 문장; break; default: 문장; 문장; } if문과 같이 조건식이 값1과 같다면 첫 번째 case문이, 값2와 같다면 두 번째 case문이, 앞의 두 조건식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다면 default문이 실행된다. break문을 생략하면, 첫 번째로 조건이 만족되는 case문을 실행한 후 아래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break문을 만나야 비로소 switch문을 빠져나감을 알 수 있다. default문은 선택이므로 필요가 없다면 제거해도 된다. switch의 조건식의 결과는 int형의 정수 값이다. 그러므로 값1.. 2022. 3. 28. if문 지금까지는 코드의 흐름이 위에서 아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조건문을 통해 코드의 실행 순서를 조절하는 법을 알아보자! 조건문은 조건이 만족될 때 특정 문장을 수행한다. 조건식의 결과 값은 true이거나 false이어야 한다. if문 if(조건식) { 문장; 문장; ...... } if문은 조건식의 결과 값이 true일 때 if문 블록 안 문장을 실행한다. 위의 코드는 모두 x가 0보다 작을 때 실행되는 조건문이다. 조건식이 하나의 문장만을 실행한다면 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 if문과 else if문, else문을 함께 쓸 수 있다. if(조건식1) { //조건식1의 결과 값이 참일 때 실행됨 문장; 문장; ...... } else { //조건식1의 결과 값이 거짓일 때 실행됨 문장; 문장; ...... .. 2022. 3. 28. 이전 1 2 3 다음